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는 생각해 볼 수록 미묘한 점들이 있다. 예컨대
- 전파력이 아주 높다, 근데 전파를 하면서 자신이 모를 수가 있다
- 치사율을 높은 편이지만 사스, 메르스 등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치명적이진 않은데 대신 노인, 합병증, 병상이 없어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 매우 치명적이다
이런 부분이 이 질병에 대한 태도, 대처의 미묘함을 만들어 낸다. 나는 아무렇지도 않은데 나 때문에 남이 죽을 수도 있다. 다들 가만히 있는 게 세상을 살린다는 건 이상하게 들릴 수 있다. 마블의 히어로처럼 요란하게 여기저기 돌아다니면 노인과 병자들이 죽어갈 거다.
병원 구조의 효율성 고려에 치명타를 날린다. 유럽에서 잘 볼 수 있다. 앞으로 이런 일이 또 생길 수도 있다. 하지만 5년 후일지 10년 후일지 모른다. 즉 앞으로 잉여의 시스템을 보존해야 한다. 예컨대 코로나가 잘 마무리되고 대비 시스템이 만들어 져도 이후 10여년 아무 일도 생기지 않는다면 하릴 없이 돈을 잡아 먹는 시스템을 과비용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거다. 중간에 무슨 일이 있다고 해도 대비된 시스템 덕분에 아무 일 없이 지나갈 수 있다. 즉 궁극의 방역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거다. 세금을 들였다면 도로나 댐이 눈 앞에 생겨야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세상에 많이 있다. 그럴 때 또 등장해 치명타를 날리겠지. 결국 때가 오면 증편이 이뤄지면서 새 부대가 만들어지는 예비군 시스템 비슷하게 만들어지지 않을까.
이런 구조적 측면 외에 개인의 측면을 보자면 매우 복잡 미묘하다. "나는 괜찮아"라는 말이 전체의 관점에서 볼 때 "전혀 괜찮지 않아"가 된다. 이게 이토록 벌어지는 케이스가 있을까.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논의, 저의, 운용
1. 국회의장이 개헌 논의에 불을 붙였다. 당연히 현재 시작된 대선 가도의 논외로 밀려 나 있는 정치인들과 국힘 의원들이 찬성을 하고 나선다. 살 길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아직 갈 길이 먼 12.3 불법 계엄 관련 논의를 뒤로 밀어 버린다....
-
오래간 만에 영화 칼리골라(1979, 예전엔 칼리귤라라고 했던 거 같은데 검색해 보니 요새는 칼리골라라고 하는 듯... 이태리 제목은 Caligola, 영어 제목은 Caligula다)를 봤다. 봐야지 하고 찾아본 건 아니고 유튜브 뒤적거리는 데 풀버전...
-
1. 세브란스 시즌 2 2회가 나왔다. 헬레나는 마크 S를 복귀시키는 걸 중요하게 여긴다면서 그 이유는 콜드 하버를 위해서라고 말한다. 시즌 2 1회에서 동료를 다시 맞이한 마크 S가 작업하던 파일이 COLD HARBOUR였다. 68% 완료중. 시즌 ...
-
1. 최저 10도, 최고 20도라고 해서 살짝 긴장했는데(하루에 10도씩 떨어지고 있다) 낮의 햇빛은 여전히 따가웠다. 뜨겁다기 보다는 따갑다가 정확한 표현인 거 같다. 2. 에이프릴 사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곽튜브에 대한 비난은 정도를 넘...